#최고관계루머 #루머인이유
이 관계가 사진 내용과 같은 사유로 갈등 관계(모순 관계)로 많이 오해를 받는데 사실 이중성 관계가 아니라 갈등(모순) 관계이다.
ESFJ와 INTJ는 실제로는 갈등 관계이고 유형이 혼동의 여지가 있어 오류가 나온 것을 반영한 자료이다.상황이 어찌된 건지 설명해보자면, 사회인격학 관계론의 사회인격학 유형은 맨 끝글자인 j가 소문자로 되어있고, MBTI유형은 맨 끝글자인 J가 대문자로 되어있다.
그래서 사회인격학 유형은 INTj 라고 표시되며, MBTI유형은 INTP라고 표시된다. 사람들은 이러한 유형 속에 내재된 소문자와 대문자의 차이와 진실을 알지 못했다.사람들은 사회인격학 유형과 MBTI유형이 겉모습만 흡사할뿐, 실제로는 전혀 다른 유형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사회인격학 유형을 해석해서 관계론을 인터넷에 알렸으며 이는 왜곡되게 해석한 것과 같다. 그래서 인터넷에는 오류난 관계론이 알려지게 된 것이다.
이론의 오류를 정확하게 짚어낸 어떤 네이버 블로거의 이중성 관계 글 캡쳐사진
2. 두 유형은 갈등의 요소가 매우 많다.
Ne 대 Ni: INTJ들은 추상적인 생각과 이론에 대한 지적 탐구를 즐기는 경향이 있는 반면, ESFJ들은 확립된 방법의 일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 실용적인 사람들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INTJ는 ESFJ를 근시안적이거나 트집을 잡는 것으로 볼 수 있고, ESFJ는 INTJ를 비현실적이거나 그들의 머리에 박혀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e 대 Fe: INTJ들은 사람들이 논리적이고 일관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ESFJ들은 사람들의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는 것에 더 가치를 둔다. 따라서 INTJ는 ESFJ를 간섭적이거나 지나치게 민감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ESFJ는 INTJ를 지나치게 비판적이거나 둔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Fi 대 Ti: INTJ는 ESFJ를 완고하고 냉정하거나 비이성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외부의 영향에 저항하기 위해 Fi를 방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ESFJ는 자기 주도적이고 분석적으로 접근하는 문제에 어려움을 겪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INTJ의 관점에서 비합리적이거나 비반사적으로 보일 수 있다.
Se 대 Ne: INTJ는 즉각적인 변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ESFJ는 이에 대해 엄격하거나 융통성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ESFJ는 변화에 저항하거나 비판을 피하기 위해 방어적으로 N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ESFJ가 INTJ를 완고하거나 편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ESFJ는 INTJ보다 외향적이고 사교적인 경향이 있다.
ESFJ와 ISFP가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0) | 2023.06.23 |
---|---|
MBTI ESFJ-INTP 루머 정리 (0) | 2023.06.23 |
MBTI ESFJ-ISFP 관계 루머 정리 (5월 최종 업데이트) (0) | 2023.06.23 |
ISFP와 ESFJ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 (0) | 2023.06.23 |
ESFJ x ISFP 성장과 발전을 위한 피드백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