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관계가 사진 내용과 같은 사유로 갈등 관계(모순 관계)로 많이 오해를 받는데 사실 갈등(모순) 관계가 아니라 이중성 관계이다.
최근 ESFJ와 INTP가 상극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거짓이고 실제로는 가장 최적의 운명적인 만남 이중성 관계로 이론에서 여겨진다. 여기 왜 루머이고 운명적인 만남인지 이유를 알아보자.
왜 상극이라는 말은 유언비어일까?
1. 궁합표가 일부 유형의 상극이 없는 엉터리 표이다.
궁합표
2. ESFJ와 INTP는 서로를 완벽하게 보완하며 서로에게 성장촉진제와 같다.
그 이유는 이 관계에서는 서로의 약점이 서로의 강점이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계가 좋지않다면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거나 서로의 마음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INTP는 ESFJ의 열등한 두 심리적 기능 Ti와 Ne를 채워주고 ESFJ는 Fe와 Si를 채워준다. 그리고 INTP에게 계획과 위계질서가 뭔지 알려주고 ESFJ에게는 자율성과 변화 수용, 융통성을 알려준다. 이것만큼 이익이 넘쳐나는 관계는 없다. 이 관계는 서로가 모르는 모든 것을 가르쳐줄 수 있다. 서로가 배우고 자라고 성장한다.
INTP유형은 명확한 논리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 자신의 사물에 대한 이해를 타인에게 설명하려고 노력하며, 아무도 자신의 의견을 듣지 않으면 매우 화가 난다. 따라서 INTP유형에게는 유머감각이 있고 유연하고 외교적인 협력 파트너가 필요하다.
INTP유형은 가족의 절박한 요구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왜냐하면 INTP유형의 마음은 종종 다른 곳에 있고, 때로는 자신의 일과 연구에 전념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 문제는 대부분 ESFJ유형의 손에 달려 있는데, ESFJ유형은 자신을 관리할 수 없을 경우에만 파트너의 도움을 요청한다. 그런 경우 ESFJ유형은 명령과 지령에 의해서가 아니라 감정과 열정으로 INTP를 그 과정에 끌어들인다. 그런 다음 INTP는 태스크를 단계별로 분할하고 연속적으로 해결한다. 이 과정에서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외에 서로가 보완할 수 있는 것들은 아주 많다.
INTP유형은 관계의 주도권을 쥐거나 자신의 감정을 보여줄 필요가 있을 때 큰 어려움을 겪는다. 이 때문에 INTP유형은 종종 차갑고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여겨진다. 의사소통에서 편안하고 따뜻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책임을 질 파트너가 필요하다.
ESFJ유형은 다른 사람의 기분을 읽을줄 알고, 절망할 때 기력을 돋워줄줄 안다. ESFJ유형의 솔직하고 열정적인 성격 때문에, ESFJ유형은 종종 관계를 위태롭게 하고 그래서 냉정하고 침착할 수 있고, 모든 것을 이해하고 ESFJ유형에게 객관적인 조언을 해줄 파트너가 필요하다.
낙관적이고 부주의한 ESFJ는 멀리 내다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도 간결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요약이나 예측을 할 수 있는 파트너의 조언이 필요하므로 의심과 대안의 여지가 없다.
ESFJ유형은 불필요한 업무와 활동을 포함하여 너무 많은 일을 떠맡는 경향이 있다. INTP는 자신의 활동을 감시해야 하며, 과잉을 차단하고, ESFJ유형이 명확한 논리적인 조언의 형태로 부드럽게 할 수 있는 본질적인 것만을 도와야 한다.
3. 이론상 이중성 관계로 가장 이상적인 관계로 꼽힌다.
4. 서로의 2차기능(부기능)과 3차기능이 같고 동일한 이 두 개의 기능덕에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2차기능과 3차기능이 일치한다는 것은 서로가 완전히 다른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똑같은 기능을 갖고 있으나, 심리기능의 순서가 뒤집혀 있을 뿐이다.
mbti ESTJ-ESFJ 관계 루머 정리 (0) | 2023.06.23 |
---|---|
ESFJ와 ISFP가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0) | 2023.06.23 |
MBTI INTJ-ESFJ 관계 루머 정리 (0) | 2023.06.23 |
MBTI ESFJ-ISFP 관계 루머 정리 (5월 최종 업데이트) (0) | 2023.06.23 |
ISFP와 ESFJ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 (0) | 2023.06.23 |